![]() |
|
![]() |
![]() |
![]() |
![]() |
![]() |
![]() |
클러치나 브레이크 페달을 2~3번 밟아 보았을 때 느껴지는 감각이나 위치가 정상이 아닐 때에는 정비 공장에 문의정비 조치 후 운행토록한다. |
![]() |
![]() 계통에 이상이 있으므로 정비 조치후 운행 토록 해야 한다. ![]() ![]() |
![]() |
![]() |
엔진·룸 부분을 점검할 때에는 엔진 시동을 걸지 않은 상태에서 (만약이때 시동을 걸어 놓은 상태라면 끄고 5분정도 지난 후) 보닛(Bonnet)을 열고 냉각수와 각종 엔진 오일, 브레이크액, 축전지(Battery) 전해액등이 정상인지와 벨트의 상태 및 장력을 점검해야 한다. |
![]() |
![]() ![]() ![]() 아랫부분 상단(MAX 혹은 H)과 하단(MIN 홍은 L)표시 눈금 사이에 있으면 정상이지만 오일량이 감소 되는 것을 감안, 윗 눈금 표시선 부근까지 부족량을 보충하도록 한다. 이때 엔진에 주입된 오일과 똑같은 점도의 오일로 보충해야 한다. |
![]() |
![]() 를 P에서 L위치까지 서서히 2~3회 왕복 움직인 후, 최종 N위치에서 핸드브레이크를 잡아 당겨 놓고, 시동이 걸린 상태에서 오일 레벨 게이지를 뽑아 점검한다. 이때 "HOT"이라고 표시된 눈금 부근까지 채워져 있어야 하며 부족량은 주입된 오일과 똑같은 종류의 오일로 보충한다. ![]() 위 표시선 부근까지 보충한다. |
![]() |
![]() 선까지 되도록 증류수를 보충한다. ![]() ![]() ![]() 않고 아침 첫 시동도 어려울 때에는 축전지의 수명이 다 된 것이므로 새것으로 교환 조치해야 한다. ![]() |
![]() |
![]() ![]() ![]() |
![]() |
![]() |
![]() 양쪽 타이어 공기 압력이 똑같게 되도록 보충한다. ![]() 나 확인해 보고 특히 측면 부분의 손상은 주행 중 타이어 파열과 함께 치명적인 사고로 이어질 수 있기 때문에 교환 조치토록 해야 한다. |
![]() |
차체 및 지면에 냉각수나 오일이 떨어진 흔적이 있는지 살표보고, 강력 접착 고무 테이프나 고무줄 등으로 운전자 조치가 필요하며, 어려울 때에는 정비 공장에 문의, 정비토록 한다. |
![]() |
![]() ![]() 똑같은 전지 용량의 퓨즈로 한다. ![]() ① 전조등 ② 방향지시등 ③ 제동등 ④ 미등 ⑤ 번호등 ⑥ 실내등 ⑦ 안개등 ![]() 똑같은 전기 용량의 전구로 교환한다. |
![]() |
차체가 긁히거나 손상된 곳이 없는지 자세히 살핀다. |
![]() |
![]() |
![]() ![]() ![]() ![]() ![]() 이상시에는 확인 점검과 함께 응급조치 후 출발해야 한다. |
![]() |
![]() |
![]() ![]() ![]() ![]() ![]() |
![]() |
![]() |
인천광역시 서구 호두산로 26(경서동 350-281), 대표자: 정기동, 책임자: 윤주현 [사업자번호 : 137-20-02894, 학원코드 : 23207] Tel : 010-5311-1516 [admin] ![]() |